Orbit Library (2023)
Hyeree Ro and Jieun Uhm, who graduated from art college in 2017, have often sensed that the trajectory and pattern of their practice and career intertwine or run parallel to each other. Invited together to this program, they bring a subjective and privat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to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s storage space. Their work, which has yet to be collected in an art museum, is now taken apart and classified into distinct units using a unique system, unlike th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s.
The performance unfolds beyond the window, the front area of the Visible Storage, where the two artists' works are stacked and piled chaotically and observed as a whole. The storage space is deliberately disassembled and divided into various spatial elements like racks, loft area, the front glass, and a long, spacious passage way, which is utilized as the performance space. Hyeree Ro and Jieun Uhm focus on six themes around the artwork, creating a multilayered space by engaging in dialogues and physically moving objects to specific positions.
The audience peers inside through monitors installed on the front glass and exterior space, while also listening to the artists' conversations through speakers. The right monitor displays subtitles of the performers' dialogue, while the left monitor showcases relevant images akin to footnotes during the performance.
In their dialogue, the artists discuss their creative process, including the artworks went through extensive travels (the movement and migration of work), pieces stored in their mother's house (the challenges of storing art), emotional reactions to their work that brought tears (the artist's psychological state and biorhythm), and works requiring careful consideration of light and sound (the conditions required by the media), as well as reflection on the various physical and emotional challenges during and after the production of artwork. By examining chance as a shared structure that activates their work, they raise questions about invisible conditions bordering the trajectory, encompassing production and approval, recording and exclusion, and oblivion and revival.
Facing the front part of the storage, the audience can envision the intricate correlations between the artist and their work, which oscillate between closeness and distance within the trajectory of time and space. The scenes presented in the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act as hints, drawing from the dispersion and reversion of two interconnected worlds that have engaged in a prolonged contact.
Directed and performed by Hyeree Ro, Jieun Uhm
Operated by Kim Hyun-seok
Seating designed by Kiljong Arcade
Media equipment installation by Multitech
Art handling by Art Core
Thanks to Meesoon Ko, Yeon-Yong Kim, Jae hyun Kim, Yeom Chulho, Eunsook Ha
Curated and organized by Juri Cho
Commissoned by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Cheongju Performing Arts 2023 Relay Performance
궤도 라이브러리 (2023)
노혜리와 엄지은은 미술대학을 졸업한 2017년부터 서로의 작업 활동의 궤도와 패턴이 교차, 평행하고 있음을 종종 느껴왔다. 이번 프로그램에 함께 초대된 두 사람은 수장고 공간에 주관적이고 사적인 작업 분류 체계를 들여온다. 미술관에 소장된 적이 없는 두 사람의 작업은 수장고에 들어와 기존의 분류법과는 다른 어떤 체계를 통해 각기 다른 단위로 분해되고 분류된다.
보이는 수장고의 안면부인 유리창 너머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는 두 사람의 작업이 무질서하게 적재되어 하나의 덩어리로 보이는 풍경으로부터 시작한다. 수장고는 랙(Rack), 내부의 복층 구조, 전면부의 유리, 길고 커다란 통로 등 각각의 공간 요소로 해체, 분리되어 퍼포먼스의 공간으로 활용된다. 작업을 둘러싼 여섯 개의 꼭지를 중심으로 노혜리와 엄지은은 대화를 주고받으며 물리적 사물을 각각의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키며 다층적으로 공간을 구성한다. 관객들은 전면부의 유리와 외부 공간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내부를 들여다보고, 스피커를 통해 두 사람이 주고받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오른쪽 모니터에는 퍼포머의 발화에 해당하는 자막이, 왼쪽 모니터에는 퍼포먼스에 달린 각주처럼 연관된 이미지가 등장한다.
대화의 내용은 가령, 가장 많이 여행을 다닌 작업(작품의 이동과 이주), 엄마 집에 보관되어 있는 작업(작품의 보관 문제), 울면서 만들었던 작업(작가의 심리적 상황과 신체 리듬), 빛과 사운드가 필요한 작업(매체 구동의 조건) 등 창작 과정과 이후 상황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물리적 조건과 정서적 문제를 포괄한다. 더불어 두 작가의 작업을 작동시키는 공동의 구조인 우연성을 주요한 키워드로 삼아 창작과 승인, 기록과 배제, 망각과 부활로 이어지는 궤적을 만들어내는 비가시적 조건은 무엇인지 질문한다.
수장고의 안면을 마주한 관객들은 시야의 왼쪽, 오른쪽, 위, 아래 방향으로 펼쳐지는 장면들을 힌트 삼아 오랜 시간 동안 접점을 형성해 온 두 세계의 분산과 회귀가 그려내는 시공의 궤도와 가까워졌다 멀어지기를 반복하는 작가와 작품 사이에 놓인 관계항을 상상해볼 수 있다.
2023.8.4.(금) 14:00, 17:00
러닝타임 약 40분
3층 보이는 수장고
연출 및 출연 : 노혜리, 엄지은
오퍼레이터 : 김현석
객석 디자인 : 길종상가
미디어장비 설치 : 멀티텍
운송 : 아트코어
고마운 분들 : 고미순, 김연용, 김재현, 염철호, 하은숙
기획 및 운영 : 조주리
주최 : 국립현대미술관